본문 바로가기

새가 있는 풍경

철새들의 군무-아름다운 비행/순천만 가창오리 가을빛이 좋았던 순천만.... 수 천마리의 새들이 한꺼번에 날아 오릅니다. 철새들의 군무, 아름다운 비행... 순천만 가창오리떼입니다. (2022년 11월 13일) 철새들이 날아 오르는 순간, 일제히 한 방향으로 날아 오릅니다 순천만 흑두루미를 만나러 갔던 날 가창오리떼를 만납니다. 물 위로 내려 앉았다 날아 오르기를 반복합니다. 한 무리가 날아 올랐다 다른 무리와 합쳐지기도 합니다. 저리 수많은 새들이 한 방향으로 날아간다는 것이 신기하기만 합니다 가창오리 군무... 새들이 물 위에 내려앉고.. 주위가 조용해지는가 싶더니 다시 날아 오릅니다 새들이 방향을 바꾸는 순간, 배를 보여주니 무리가 흰색으로 보입니다. 새들의 군무가 때론 그림처럼 느껴집니다 흑두루미들도 칠면초 밭 근처로 내려 앉습니다 다양한 새.. 더보기
힘찬 비상, 아름다운 날개짓-순천만 흑두루미 머리 위에서 새들이 아름다운 날개짓을 합니다. 가느다란 목과 흰 머리, 활짝 펼친 우아한 날개를 가진 새, 힘찬 비상, 아름다운 날개짓, 순천만 흑두루미입니다. (2022년 11월 13일) 커다란 새가 날개짓하는 소리를 들어 보셨나요? 흑두루미들이 무리지어 날아가니 날개짓하는 소리가 들려옵니다 아름다운 새들의 아름다운 비행.... 러시아의 아무르 유역과 중국 북동부에서 번식한다. 재두루미의 번식지와 약간 중복되고 보다 북쪽으로 치우쳐 있다 (러시아 남동부지역이 주 번식지다). 월동지는 중국의 양쯔강 유역과 한국의 순천만, 그리고 일본 규슈지방의 이즈미와 인접한 해안이다. 10월 중순에 도래하며, 4월 초순까지 관찰된다. 초지, 습지, 논에서 가족단위로 생활하며 이동시기와 월동지에서는 가족군이 모여 큰 무.. 더보기
가을 속을 날다-순천만 흑두루미 행운, 행복, 가족애의 의미를 갖고 있다는 흑두루미.. 세계에서 1만 5천 마리 밖에 남아있지 않다는 새, 순천만에서 겨울을 나는 새, 순천만을 찾은 흑두루미, 들판과 갈대숲에서 새들의 무도회가 열립니다. 가을 속을 날다... 순천만 흑두루미입니다. (2022년 11월 13일) 1997년 처음 순천만에서 70여 마리가 관찰되었다고 하지요. 그리고 올해 2022년 9000여 마리의 흑두루미가 순천만을 찾아 왔습니다. 사진을 찍었던 11월 중순 경에는 9000마리 정도 관찰되었고 그 때는 조류독감(AI)가 발생되기 전이어서 갈대밭 앞에, 칠면초 앞에서 흑두루미를 볼 수 있었습니다. 며칠 전 주말에 갔을 때는 조류독감으로 농주리 갈대밭 앞 쪽만 들어갈 수 있고 다른 곳들은 통제된 상태입니다. 11월 말 현재 .. 더보기
새가 있는 풍경-알락할미새 몸 길이 20cm가 되지않는 작은 새가 눈 앞에 날아와 앉습니다. 날개를 펴자 그 모습에 반하게 되네요. 새가 있는 풍경, 알락할미새입니다. (2022년 8월 27일) 알락할미새가 물 속에 들어가서 목욕을 하고, 바위 위에 올라가 몸을 말립니다. 조강 참새목 참새과에 속하는 척추동물. ‘whitefaced pied wagtail’이라고도 한다. 학명은 ‘Motacilla alba’이다. 크기는 약 18~21cm, 무게는 약 19~27g이다. 원산지는 아시아와 유럽으로, 한국에서는 겨울에 남단지역에서 발견할 수 있다. 작은 새로서 수컷은 여름에 정수리와 등, 가운데꼬리깃, 가슴 등은 검은색이고 나머지 부분의 깃은 흰색을 띤다. 바깥꼬리깃은 흰색이며 암컷은 수컷과 비슷하지만 배는 회색이고 머리와 가슴의 검은.. 더보기
여름날은 간다3-연밭의 백로 다 지고 없을 줄 알았던 연꽃을 보았던 곳, 근처에 연밭이 많은 곳입니다. 연꽃은 다 지고 없는 연밭에 새들이 날아듭니다. 여름날은 간다, 연밭의 백로입니다. (2022년 8월 28일) 연밭에 먹이가 많은가 봅니다. 새가 날아들고, 날아가고... 우아하고 아름다운 날개짓... 뒷모습이 아름다운... 때론 파란 하늘에 날개를 활짝 펴고 날아가기도 합니다. 이 녀석은 백로가 아니라 황로인 듯 합니다 깃털 색이 독특합니다 연꽃이 다 지고 없는 연밭도 아름다워 담아봅니다. 꽃이 피었을 때는 꽃이 핀 모습으로 지고 난 후에는 지고 난 모습으로 또 다른 아름다움이 있습니다 태풍이 다가온다는 소식이네요. 아무쪼록 피해없으시길 바래봅니다. 고운 주말 되십시오. 더보기
새가 있는 풍경-창녕 우포늪의 물꿩 너른 습지 가득 푸른 잎 수초가 뒤덮고 있습니다. 그 위를 낮은 고도로 자유롭게 날으는 새... 새가 있는 풍경, 창녕 우포늪의 희귀조류, 물꿩입니다. (2021년 7월 31일) 물꿩이 알을 품고 있는 모습이 먼저 눈에 띕니다. 일어나는가 싶더니 날아오릅니다. 날아가는 모습이 참 아름다운 새입니다 작년 여름 무더운 날, 만났던 새... 알을 품고 있던 물꿩도 더위를 식히기 위해서, 먹이사냥을 하기 위해서, 한 번씩 날아갑니다. 동남아 열대지역이 주 서식지인 물꿩은 가끔 우리나라에 모습을 드러낸 나그네새였지만 기후변화와 함께 이제 여름 철새로 자리 잡았다고 합니다. 물꿩이 우포에서 처음 관찰된 것은 2010년으로 그후, 해마다 우포를 찾았다고 하지요. 그러다 2017년부터 관찰되지 않다가, 3년 만인 20.. 더보기
새가 있는 풍경-숲속의 보석이라 불리우는 팔색조 우거진 숲, 비가 내리는 어둑한 숲에서 '호이잇 호이잇' 하는 소리가 들려옵니다. 보고 싶었던 새, 카메라에 담아 보고 싶었던 새, 팔색조의 울음소리입니다. 숲속의 보석이라 불리우는 새, 팔색조입니다. (2022년 7월 24일) 15cm-18cm 정도의 크기 검은색을 비롯해 갈색, 하늘색, 붉은 색, 살구색, 녹색, 크림색 등 8가지 색을 가졌다고 하여 팔색조라 불리우는 새... 화려한 외양에도 불구하고 직접 관찰하기가 매우 어려운 새라고 하지요. 천적 눈에 잘 띄는 만큼 잡아먹힐 위험도 높은 탓에 깊은 숲속에서 조심스럽고 은밀하게 움직이는 특성을 갖고 있어 사람의 눈에 잘 띄지 않는 새라고 합니다. 귀한 새를 만났습니다. 팔색조과 천연기념물 제 204호 학명은 Pitta nympha이다. 이마에서 뒷머.. 더보기
새가 있는 풍경-물총새 파란 날개를 펄럭이며 나뭇가지에 앉았다, 날아갔다를 반복하는 새, 어느 순간, 물 속으로 다이빙, 그리고 물고기를 입에 물고 솟구쳐 오릅니다. 새가 있는 풍경, 물총새입니다. (2021년 9월 11일) 지난 주에 이어 다시 물총새 이야기입니다. 물총새가 물 속으로 들어가는 순간, 물에 비친 반영까지도 아름다운 순간입니다. 물고기를 잡고 물 위로 솟구쳐 오르는 순간, 물방울과 함께 솟아 오르는 모습은 언제나 아름다움입니다! 물고기를 잡아 횃대 위에 내려앉는 순간, 의기양양함이 느껴집니다^^ 물을 향해 수직낙하~ 다이빙 선수 못지않은... 입수의 순간~ 예술 점수는 백 점 만점에 백 점! ㅎㅎ 조강 파랑새목 물총새과에 속하는 척추동물. 학명은 ‘Alcedo atthis bengalensis’이다. 한국에서는.. 더보기
새가 있는 풍경-물총새 파란 날개를 펄럭이며 나뭇가지에 앉았다, 날아갔다를 반복하는 새, 어느 순간, 물 속으로 다이빙, 그리고 물고기를 입에 물고 솟구쳐 오릅니다. 새가 있는 풍경, 물총새입니다. (2021년 9월 11일) 물 속에서 솟구쳐 오르는 순간, 물방울과 함께~ 파랑새목 물총새과, 두 날개를 활짝 핀 모습을 보니 파랑새목이 맞습니다. 횟대 위에 날아와 앉아 일단 관망중~ 물 속에서 나오는 순간, 사냥에 실패하기도 하고, 성공하기도 하고... 이 녀석은 물고기 사냥에 성공이로군요 어라~ 이 녀석은 물고기 사냥은 안하고, 물 위를 걸어다니네요^^ 방향을 틀어 다시 횟대로~ 다시 다이빙에 도전~ 맨날 허탕이네요^^ 입수하는 모습도 100점 만점에 100점이네요. 이번에는 사냥 성공이네요 작년에 담은 사진 이제 열어보았네요.. 더보기
새가 있는 풍경-긴꼬리딱새(삼광조) 육추2 긴꼬리딱새.... 꼬리가 길어 붙여진 이름이지요. 바로 전에 긴꼬리딱새 수컷을 포스팅하였었는데 오늘은 긴꼬리딱새 암컷을 포스팅해봅니다. 새가 있는 풍경, 긴꼬리딱새(삼광조) 육추입니다. (2022년 7월 2일) 긴꼬리딱새 암컷은 이름과는 다르게 꼬리가 길지 않습니다 비교하기 위해 한 장 다시 올려보자면, 긴꼬리딱새 수컷 꼬리가 아름다운 새이지요. 암컷과 수컷 번갈아가며 아기 새들에게 열심히 먹이를 나릅니다 아기 새들 입을 크게 벌리고 노란부리가 인상적인 아기 새들 다양한 표정을 보여주는 엄마 새.. 어미 새가 먹이를 주고 나서도 둥지에서 날아가지 않고 오래 둥지에 앉아 있습니다. 원래 아열대 기후에 사는 새들이라 요즘처럼 무더운 날씨에도 아기 새들에게 이 날씨가 추운가 봅니다. 보온을 해주려고 저리 아기.. 더보기
새가 있는 풍경-긴꼬리딱새(삼광조) 육추 팔색조, 유리새, 흰눈썹황금새, 긴꼬리딱새.... 아름다운 새들로 손꼽히는 새들입니다. 팔색조를 보려 애쓰고 있는 중인데, 긴꼬리딱새를 먼저 보고 왔습니다. 꼬리깃이 이쁜 새, 새가 있는 풍경, 긴꼬리딱새(삼광조) 육추입니다. (2022년 7월 2일) 긴꼬리딱새가 아기 새들에게 먹이를 주려고 날아오는 순간... 긴꼬리딱새는 멸종위기야생동식물 2급에 속하며 과거 삼광조로 불리웠는데 삼광조는 일본식 이름을 그대로 옮긴 것이라 새의 형태의 특징을 살려 이제는 긴꼬리딱새로 불리우는 새입니다. 보고 있으면 참 아름답다는 생각이 저절로 드는 새입니다. 오늘 포스팅하는 새는 긴꼬리딱새 수컷입니다. 이 새는 암컷과 수컷 모양이 확연하게 다른 새입니다. 한국과 일본에서는 여름철새로 찾아오고 대만에서는 텃새로 머문다. 비.. 더보기
새가 있는 풍경-꾀꼬리 노란 몸통, 붉은 부리, 검은 머리 부분, 갈색의 깃털... 이쁘고 화려한 모습을 한 꾀꼬리입니다. 며칠 전에 꾀꼬리 육추를 포스팅했었는데 오늘은 꾀꼬리 성조를 올려봅니다. 수컷과 암컷 함께 아기 새들을 돌보더군요. 번갈아가며 먹이를 물어 나르고, 주변에서 망을 보고... 새가 있는 풍경 꾀꼬리입니다. (2022년 6월 18일) 주변의 나무가지에 날아와 앉았다가 날아가고~ 다양한 모습들을 볼 수 있습니다 엄마를 기다리는 아기 새들 둥지로 바로 날아오지 않고 저리 근처에 먼저 앉아서 주변을 살피더군요 무더운 주말이네요 시원하게 보내는 휴일 되세요. 더보기
새가 있는 풍경-꾀꼬리 육추 꾀꼬리... 어릴 적부터 노래 잘하는 사람에게 꾀꼬리처럼 노래한다는 말을 하곤 했지요. 그래서인지 꾀꼬리를 떠올리면 노래를 잘하는 새라는 생각이 먼저 듭니다. 말로만 듣던 꾀꼬리, 처음 만나고 왔습니다. 새가 있는 풍경, 꾀꼬리 육추(새끼를 키우는 일)입니다. (2022년 6월 18일) 아기 새 3마리, 엄마 새, 아빠 새가 부지런히 날아듭니다. 입에 먹이를 물고서... 참 아름다운 모습입니다. 둥지 안에 아기 새, 3마리 그중 가장 배고픈 녀석이 목을 길게 빼고 어미 새를 불러댑니다. 근처 나뭇가지에 어미 새 먹이를 물고 날아와 앉았습니다. 아기 새 한마리 둥지에서 탈출을 시도 중이로군요. 제대로 날지 못하는 상태에서 둥지에서 떨어지면 잘못되는 수가 많다는데 마음이 조마조마합니다. 어미 새 둥지에 다가.. 더보기
새가 있는 풍경 - 오색딱따구리 새가 있는 풍경, 오색딱따구리... 세번째 이야기입니다. (2022년 6월 1일) 오색딱따구리 육추 세번째 포스팅이네요 아기 새 얼굴을 보러 간 날, 카메라 두 대를 놓고 담았던 날, 다른 카메라에 담긴 오색딱따구리입니다. 날아가고~ 또 날아가고~ 날아오고~ 또 날아오고... 참 지극한 모성입니다 아름다운 날개짓~ 아침부터 무더위가 느껴지는 날씨네요 무더위에 지치지않는 하루 되시구요 고운 주말 되십시오 더보기
새가 있는 풍경-오색 딱따구리 나무 숲에 앉아 있으니, 새소리들이 들려옵니다. 다양한 새들이 한 자리에 모여 살아가는 숲, 그 숲에서 만난 오색 딱따구리... 열흘 전에 다녀올 때는 아기 새들(유조)이 둥지에서 아직 고개를 내밀지 않았을 때였지요. 유조들이 둥지에서 고개를 내밀고 있다해서 다시 찾은 딱따구리 둥지입니다. 열흘 만에 다시 찾은 오색딱따구리 둥지, 새가 있는 풍경, 오색딱따구리입니다. (2022년 6월 1일) 둥지에 아기 새 두 마리, 숫컷과 암컷 아기 새들이 한 마리씩 있습니다. 두 마리 아기 새들을 먹이느라 혼자 분주한 어미 새입니다. 먹이를 잡아오고, 먹이고, 다시 날아가고, 다시 먹이를 잡아오고, 둥지에서 날아 오르는 순간... 먹이를 잡아 온 어미새와 먹이를 먹는 아기 새.. 먹이를 물고 오는 어미 새를 기다리는.. 더보기
새가 있는 풍경-오색 딱따구리 나무 숲에 앉아 있으니, 새소리들이 들려옵니다. 새소리를 들어도 잘 구별은 못하지만, 옆에 계신 분이 가르쳐 주시네요. 이건 호반새 소리, 이건 딱따구리 소리, 소쩍새 소리, 뻐국이 소리... 다양한 새들이 한 자리에 모여 살아가는 숲, 그 숲에서 만난 오색 딱따구리입니다. 새가 있는 풍경, 오색 딱따구리입니다. (2022년 5월 22일) 오색 딱따구리, 새의 모습을 처음 본 순간, 왜 그리 이름붙여졌는지 알 것 같습니다. 붉은 색, 흰색, 검은 색 다양한 깃털들을 가진 새입니다. 둥지 안에 어린 새(유조)가 있어 어미 새가 부지런히 먹이를 잡아 나릅니다. 오디와 나무 열매, 나방에 거미, 잡식성인 새입니다. 아기 새에게 먹이를 주고 다시 둥지에서 나오는 순간, 날개를 펴기 전의 모습.. 둥지에서 나오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