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새가 있는 풍경

새가 있는 풍경-뿔논 병아리

 

 

지난 번 가창오리 군무를 보러 갔던 날, 

동림저수지에서 뿔논병아리를 만납니다. 

 

새가 있는 풍경

뿔논병아리입니다.(2025년 1월 18일)

 

 

 

 

 

 

 

오후의 햇살에 저수지가 물 들어갈 때

새들이 이리저리 헤엄쳐 다닙니다. 

 

 

 

 

 

 

 

 

저수지 위에 내려 앉기도 하고

 

 

 

 

 

 

 

 

 

 

 

 

 

 

 

황금빛 원을 그리며.. 

 

 

 

 

 

 

 

 

 

 

 

 

 

 

 

 

 

 

 

 

 

 

 

 

 

 

 

 

 

 

 

 

 

 

 

 

 

 

 

 

황금빛으로 물든 오후... 

 

 

 

 

 

 

 

 

 

 

 

 

 

 

 

 

 

 

 

 

 

 

 

 

 

 

 

 

 

 

 

 

 

 

 

 

 

 

 

 

 

멀리있던 뿔논병아리

점점 더 가까이 다가오네요

 

 

 

 

 

 

 

이쁜 부리와 멋진 머리깃을 가진 새입니다. 

 

 

 

 

 

 

 

 

크기: 약 55cm 정도의 크기로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논병아리 중 가장 크다.
채색과 무늬: 암수의 깃털 색이 비슷하여 야외에서는 구별이 어렵다.

겨울은 목의 앞쪽이 약간 흰색으로 보이며 여름 깃털은 겨울 깃털보다 진하다.
주요 형질: 여름에는 목의 위쪽이 검은색과 진한 밤색으로 보이며

머리꼭대기에는 뒤로 갈래 머리 비슷한 검푸른 두 갈래의 깃털 다발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서식지: 강 하구 및 큰 호수나 저수지 등지에서 생활한다.
먹이습성: 물속의 어류 등을 먹는다.
행동습성: 물갈퀴는 불완전하지만, 잠수능력은 뛰어나며 먹이를 잡는데 많은 시간을 보낸다.

물 위에 물풀이나 기타 이끼류를 이용하여 화산모양의 둥지를 만들며

둥지를 떠날 때는 알을 풀로 덮어 놓는다.

새끼는 부화한 얼마 후에 어미를 따라다니며

때때로 어미의 등에 올라타고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번식기 때는 많은 무리를 이루지 않지만,

겨울에는 수백 마리의 무리를 짓기도 한다.

 

-다음백과사전 중에서-

 

 

 

 

 

 

 

점점 더 가까이 오며

제 모습을 보여줍니다

 

 

 

 

 

 

 

 

 

 

 

 

 

 

 

 

 

 

 

 

 

 

 

 

 

 

 

 

 

 

 

 

 

 

 

 

 

 

 

 

 

 

 

 

 

 

 

 

 

 

 

 

 

 

 

 

 

 

 

 

 

 

 

 

 

 

 

 

 

 

 

 

 

 

 

 

 

 

 

 

 

 

부리와 머리깃이 이쁜 새

뿔논병아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