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라북도

우리나라에 유일하게 남은 '일본식 사찰' 군산 동국사

 

 

 

어제는 지나갔기 때문에 좋고, 내일은 올 것이기 때문에 좋고,
오늘은 무엇이든 할 수 있기 때문에 좋습니다.

우리는 어제를 아쉬워하거나
내일을 염려하기보다는
주어진 오늘을 사랑하고 기뻐합시다.

-동국사 홈페이지에 적힌 글입니다-

 

과거와 현재, 미래가 공존하는 도시 군산에 어울리는 글이로군요.

군산을 돌아보다 보면, 일제 강점기의 흔적들이 도시 곳곳에 남아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호남 곡창지대의 쌀이 모이던 군산은 1910년 당시 인구가 4,900명

그 가운데 일본인이 절반에 가까운 2000여 명에 이르렀다고 하니

그 시절을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

 

군산 경암동 철길마을, 군산근대역사박물관에 이어

오늘 소개해드릴 곳은 동국사입니다. (2012년 5월 19일)

 

우리나라에 유일하게 남은 '일본식 사찰'

군산 동국사로의 여행을 떠나봅니다~

 

 

 

 

색 바랜 대문기둥..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라 쓴 현판이 걸려 있습니다. 

 

 

 

 

안으로 들어서니 독특하게 지어진 대웅전 전각이 여행자의 눈길을 붙듭니다.

 

창건 당시 일본에서 구워온 기와를 올렸다는 지붕은

임진왜란 때 왜장의 투구를 연상시킵니다.

 

흑백의 조화는 담백해 보이며

100년 전 건물임에도 본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습니다.

 

정면 5칸, 측면 5칸의 정방형 단층 팔작지붕 홑처마 형식의 대웅전은

일본 에도시대 건축양식이라고 합니다.

 

지붕 물매는 75도의 급경사를 이루고,

건물 외벽에 창문이 많으며, 용마루는 일직선으로 한옥과는 많이 다릅니다.

 

동국사(東國寺)는 대한제국이 사법권을 강탈(기유각서)당하던

1909년 6월 일본 조동종(曹洞宗)의 우찌다(內田佛觀) 스님이

군산 외국인 거주지 1조통에 세운 금강선사(금강사)에서 출발하였다고 합니다.

 

우찌다 스님은 1913년 군산지역 대농장주 구마모토(熊本利平)와 미야자키(宮岐佳太郞) 등

신도 29명이 시주해서 마련한 지금의 자리(군산시 금광동 135-1)에

대웅전과 요사를 신축하였습니다.

 

*조동종은 일본 불교의 주요 교단으로

식민지 조선의 일본인 거류지마다 절을 세워 관혼상제 의식 등을 도맡았다고 합니다.

 

 

 

 

건축자재를 모두 일본에서 가져와 지었다는 동국사 대웅전 앞에는

화사한 작약이 그 자태를 뽐내고 있습니다.

 

 

 

 

대웅전 앞 마당에 나란히 선 석등도 담아봅니다.

 

 

 

 

1913년 일본에서 들여 온 스기목(삼나무)으로 지었다는 전형적인 일본식 절집.

절집 곳곳에서 일본풍이 물씬 묻어납니다. 

 

일제 강점기 전국에 487개의 일본 사찰이 있었고,

군산에 있던 5개의 일본 사찰 중 동국사의 규모가 가장 컸다고 합니다.

 

487개의 일본 사찰은 이제 다 사라지고

이곳 동국사만이 유일하게 남은 일본식 사찰이라고 하니

아픈 역사를 되돌아보게 하는 곳으로 하나쯤 남겨둠도 좋을 것 같습니다.

 

 

 

 

동국사가 전형적인 일본식 사찰임을 볼 수 있는 또 다른 곳,

범종각입니다.

 

 

 

 

1919년 일본 교토에서 다까하시 장인에 의해 주조되어 들여왔다는 범종..

종각에 걸린 범종도 지면과 거의 맞닿아 있는 한국의 범종과 달리

종각 지붕에 높다랗게 매달려 있어 특이합니다.

 

그리고 아래쪽 바닥에는 항아리를 묻어 놓았더군요.

종 상부에 잡음을 없애주는 음관(음통, 용(勇))이 없는 대신 땅을 파고 큰 항아리를 묻어

위에서 내려온 종소리를 반사시킴으로써 새로운 진동음을 만들어 내는 음통이 있고

유곽없이 유두만 108개를 배치하여 백팔번뇌를 상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범종각 주변으로는 다양한 모양의 석불상이 놓여 있습니다.

일본식 불교는 주술과 밀교성격이 강하다고 하지요.

그 단면을 볼 수 있는 석불상들입니다.

 


 

 

범종각 사면을 둘러싼 석불상들을 담아봅니다.

 

32관세음석불상과 수본존 석불상이라 불리웁니다.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석불상으로 관세음보살 32기와 십이지 수본존 보살 8기로

1917년에 조성되었다고 합니다.

 

천수천안관세음보살은 중생교화를 위해 근기에 따라 32가지의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독특한 석불상입니다.

 

 

 

 

절에 들어온 일본인 신도들은 맨 먼저 12개의 띠별로 조성된 이 석불상에서 소원을 빌고

석불상 앞에 일종의 세숫대야로 만들어놓은 황등(黃燈)에서 손을 씻은 뒤 법당에 들어갔다고 합니다.

 

 

 

 

범종각을 둘러보고 대웅전을 들어가 보기로 합니다.

 

대웅전을 들어가기 전에

동국사의 역사에 대해 더 이야기해야 할 듯 합니다.

 

1913년 조종동의 일본 승려에 의해 창건된 금강사(창건 당시 금강사라 이름붙였습니다)는

해방(1945년)과 함께 미 군정에 몰수됩니다.

 

그러나 1947년 불하받아 사찰 기능을 재개하면서 이름도 '동국사'로 개칭합니다. 

동국사라는 절 이름은

'조동종의 일본 사찰로 창건되었지만, 이제부터는 우리나라(海東國) 절이다!'

라는 선언적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라고 합니다.

 

1955년에는 '불교 전북종무원'에서 인수,

김남곡 스님(1913~1983)이 공식으로 '동국사(東國寺)' 등기를 내고,

1970년 대한불교 조계종 제24교구 선운사에 등록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는 곳입니다.

 

 

 

 

동국사 대웅전은 요사채를 통해 들어가야 합니다.

 

 

 

 

대웅전은 스님들이 거처하는 요사채와 복도를 통해 연결되어 있습니다.

 

 

 

 

대웅전 내부..

기둥과 천정 등 기본 뼈대는 초창기 그대로지만,

불상, 탱화 등은 해방 후 새로 봉안된 것이라고 합니다.

 

대웅전 한가운데는 '소조석가여래삼존상'이 모셔져 있으며

양쪽으로는 탱화들이 봉안되어 있습니다.

 

 

 

 

'소조석가여래삼존상'은 보물 제1718호로 지정되어 있는 것입니다.

정확한 조성시기(1650년)와 조성주체, 소요 물목 등이

조성발원문에 낱낱이 기록되어 있어

조선 후기 불상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고 합니다.

 

특히 석가불, 아난존자, 가섭존자만으로 구성된 석가여래삼존형식의 희귀한 사례라고 합니다.

 

 

 

 

대웅전에 모셔진 삼존불은 1950년대 후반

김남곡 스님이 금산사 대장전에서 동국사로 옮겨온 것이라고 합니다.

 

이 본존불은 조선 중기인 효종 1년(1650)에 제작된 것으로

해방 이후 동국사의 일본인 승려들이 일본 불상을 가지고 귀국하자

당시 주지 김남곡 스님이 금산사의 양해를 얻어 삼존상을 동국사로 옮겨왔습니다.

 

그런데 불상 이전 이후 본존불을 보관하고 있던

금산사의 대장전에 화재가 발생하여 자칫 잿더미가 될 뻔한 사연이 있다고 합니다.

 

본존불 아래 종이는 삼존상 시주질(동참자 명단) 입니다.

1150명의 동참자 명단으로 1650년 당시 김제현 인구가 3000명이었으니

이 불상 조성을 위해 많은 공을 들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본존불 왼편의 아난존자 발원문

 

육하원칙에 의거하여 불상 조성 경위를 적은 주요한 문서입니다.

금산사 주지 직인이 찍혀 있는 발원문에는 이 불상조성은

벽암각성 스님과 호연 태호 스님이 이끌었고

서기 1650년 6월에 시작해서 9월 2일에 마쳤으며

석가여래, 가섭존자, 아난존자 등 삼존불상을 금산사에 안치한다고 적혀 있습니다.

 

또한 이에 동참자는 누구누구이며 밥을 짓는 사람과, 나무, 옷칠, 금, 약재, 보석류 등의

시주자가 누구인가를 밝히고 있습니다.

 

이 삼존상을 만든 조각가는 응매 등 6명이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가섭존자 발원문(조성 내역서)

 

 

 

 

삼존불 양 옆에 봉안된 탱화들입니다.

 

지장탱화

 

 

 

 

산신탱화

 

 

 

 

독성탱화

 

 

 

 

신중탱화

 

 

 

 

칠성탱화

 

 

 

 

동국사(구 금강사) 창건 당시

조선 총독 승인서

 

1916년 조종동 군산 포교서를 금강사로 정식 허가한다는 내용입니다.

 

* 군산근대역사박물관에서는 6월 30일까지 ‘500년만의 외출-세상과의 소통’을 주제로

동국사 소장 소조석가여래삼존불상 복장유물 기획특별전을 갖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에 공개된 1586년 김제 흥복사와 1609년 전주 귀산사 간행 목판본 '묘법연화경'이 무더기로 발견되어

서지학자들의 판본 연구에도 자료로 활용될 계획이라고 합니다.

 

이 사진들은 그 기획특별전에서 담은 사진들입니다.

 

 

 

 

동국사 창건 설계도

 

 

 

 

석불상

 

 

 

 

용마루 장식

 

몸은 물고기, 머리는 호랑이 형상인 지붕 용마루 장식

 

 

 

 

일본 북

 

일제강점기 금강사 시절 법회에서 사용하던 북으로

지름 60cm,  소가죽과 오동나무로 만들어진 것입니다.

 

 

 

 

후령통

 

후령통이란 불교 전문용어입니다.

후령통은 불상을 만들면 부처의 배부분과 머리는 하나로 연결되게 하고

목구멍 부위에 놓는 원통형 금속을 칭합니다.

 

후령통의 내용물은 주로 부처나 스님의 사리와 오곡 한약재 향 보석류 등으로 채웁니다.

결국 이런 의식은 중생의 건강과 부귀영화 수명장수 등을 기원하는

불교인들만이 갖는 독특한 생명 경외 사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동국사 후령통은 지름 4.2cm, 높이 9.7cm 입니다.

은으로 만들었고 겉포장은 황색 비단 보자기로 감싸고

내용물은 오색실, 향, 곡식류, 한양재 등입니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400년 전 볍씨가 보입니다.

 

곡식씨앗이 썩지 않고 있는 이유는 불상 외부가 옻칠이 되어 있어

방부제 역할을 하고 내부는 거의 밀봉 되어 있으므로 온습도의 영향을 덜 받는

향온향습의 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개봉 후령통

 

가섭존자의 후령통으로 개봉하지 않은 채로

보관중이라고 합니다.

 

 

 

 

사리

 

후령통을 만들면 사리를 필수적으로 넣도록 규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동국사의 사리는 빨간색과 흰색 2가지 입니다.

 

 

 

 

법화경 2권

 

1586년 김제 흥복사에서 발행한 것으로

불상의 복장용, 황진손의 글, 목판본

 

 

 

 

법화경 1권-7권

 

1586년 김제 홍복사 발행한 것으로

불상의 복장용, 황진손의 글, 목판본

 

 

 

 

다라니 1

 

목판복 다라니는 산스크리트어, 범어로도 불리는

인도 고대어로 쓰여진 짧은 글귀를 말합니다.

 

<하늘의 진실된 말>이라고 해서 굳이 해석을 하지 않으며

원어 그대로 읽습니다.

현재까지도 이 전통은 전 세계적으로 지켜지고 있습니다.

 

붉은색의 돌가루로 된 천연 잉크를 이용해서 찍습니다.

이는 붉은 색이 삿된 것을 물리친다고 믿는 토착신앙에서 나온 것이라고 합니다.

 

 

 

 

그외에도 동국사 복장유물전에서는

동국사에서 보유한 다양한 책자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다시 동국사로 돌아가 봅니다.

대웅전 한켠의 염주..

이곳에 와서 기도하는 사람들의 마음이 느껴질 듯 합니다.

 

 

 

 

대웅전을 둘러보고 나오는 길,

소나무 한그루 눈길을 붙듭니다.

 

소나무가 견뎌온 시간이 어떠했을지 짐작이 갑니다.

굽어지고 휘어진 나무,

어쩐지 마음이 서늘해집니다.

 

 

 

 

굽어진 나무는 가녀린 꽃봉오리를 피우려고 하는 여린 나무에게

한켠을 내어주고 있군요.

 

 

 

 

이중 처마..

그 처마 끝에 매달린 풍경..

 

그 풍경 소리의 여운이 오래오래

귓가에서 메아리가 되어 울릴 듯 합니다.

 

 

 

 

군산근대역사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오는 6월 30일까지 동국사 복장유물 특별전이 열리고 있습니다.

 

신축 당시 목재와 기와 등 모든 자재를 일본에서 가져와 지었다는 동국사

그렇지만 법당에는 임진왜란 때 승병장이던 벽암 각성 스님을 종명 법사로 모시고 조성한

‘소조석가여래삼존불상'이 모셔져 있어 건물은 일본식, 정신은 한국 사찰로 알려져 있는 곳입니다.

 

해방 후 헐어버리자는 의견과 보존하자는 의견으로 나뉘었으나

지금까지 살아남은 동국사입니다.

 

많은 논란이 있었지만,

많은 이야기를 품고 있는 동국사,

오랜 시간이 흐른 후에도 만날 수 있기를 바래봅니다.

 

군산 동국사 찾아가는 길

 

서해안고속도로 군산IC- 27번 국도로 군산방면 -동국사

 

 

 

 

2012년은 전라북도 방문의 해라고 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요즘 자꾸 전북으로 발길이 향하는 여행자입니다^^

 

전라북도의 다른 여행지들을 보시려면 클릭해 보세요~

시인과 함께 떠나는 섬여행-군산 선유도 http://blog.daum.net/sunny38/11776001

 

빛 바랜 흑백앨범 풍경 속으로 시간여행을 떠나다-군산 경암동 철길마을 http://blog.daum.net/sunny38/11776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