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불국토를 향한 신라인들의 염원이 어린 경주 남산 삼릉계곡

 

용장사지 삼층석탑을 보고나서, 삼릉계곡으로 내려옵니다. 

삼릉계곡의 마애석가여래좌상, 석불좌상, 선각여래좌상 등.. 보물창고가 따로 없습니다.

삼릉계곡 마애석가여래좌상의 모습입니다.

남산 중턱에 위치하여 발아래 경주 시내가 시원스럽게 펼쳐져 있습니다.

이 불상은 남산의 북쪽 금오봉에서 북서쪽으로 뻗어 내리다가 작은 봉우리를 형성한 바둑바위의 남쪽 중턱에 위치해 있습니다.

자연 암반을 파내어 광배로 삼았는데 깎아내다가 그만둔 듯 거칩니다.

높이 7미터로 냉골(삼릉계)에서는 가장 큰 불상이고 남산의 북봉인 금오봉을 향하여 앉아 있습니다 

 이 불상의 머리는 거의 입체불에 가깝고, 그 아래는 선으로만 조각되어 있습니다.

풍만한 얼굴에 눈썹은 둥글고, 눈은 반쯤 뜨고 입은 굳게 다물었습니다. 민머리에 턱은 주름이 지고 귀는 어깨까지 큼직합니다.

옷은 양 어깨에 걸쳐져 있으며, 가슴부분의 벌어진 옷 사이로 속옷의 매듭이 보입니다.

오른손은 엄지와 둘째, 셋째 손가락을 굽혀 가슴에 올렸고 왼손은 무릎에 얹었습니다.

결가부좌한 양 다리의 발 표현과 연꽃대좌가 아주 특이합니다. 전체적인 양식으로 보아 통일신라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삼릉계곡에는 지나치는 바위 위에도 어떤 도안들이 그려져 있습니다.

전에는 형체를 알아볼 수 있었겠지만, 세월 속에 많이 흐려져 있습니다.

삼릉계곡 선각여래좌상

이 불상은 높이 10미터 가량 되는 바위면에 새겨져 있습니다.

  

 바위면의 중간쯤에 가로로 갈라진 홈이 파여 있는데, 위쪽은 불상을 조각하였으며 연쫓대좌의 아랫단은 홈 아래에 걸쳐 있습니다.

얼굴 부분은 돋을새김을 하고 몸은 얕은 돋을새김인데, 나머지는 선으로 표현한 독특한 조각수법을 보이고 있습니다.

얼굴은 큼지막하고 넓적하게 표현하고 민머리 위에 상투 모양을 크게 새겼는데 머리와 구분이 없습니다. 옷은 양 어깨에 걸쳤으며 양손의 손목까지 덮고 있습니다

왼손은 엄지와 셋째 손가락을 붙여 무릎 위에 얹고 오른손은 가슴 앞에 들어 엄지와 셋째 손가락을 붙이고 손바닥이 아래로 향하도록하여 왼손과 오른손이 마주하게 하였습니다. 바위 속에서 얼굴만 내민 듯한 점이 특이하며,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경주 삼릉계 석불좌상

남산 삼릉계곡의 왼쪽 능선 중턱에 위치한 석불좌상으로 화강암을 조각하여 만들었습니다.

이 불상은 경주 남석불이 앉아 있는 연화대좌에 새겨진 연꽃무늬와 창 모양의 안상을 비롯한 전체적으로 당당하고 안정된 불상의 모습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인 8-9세기 작품으로 보입니다. 

                                          

 머리에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카락(나발)을 붙였고 정수리부분에는 상투(육계)가 있습니다.

얼굴은 풍만한 모습으로 둥글며, 두 귀는 짧게 표현되었습니다.

한쪽 어깨에 옷을 걸쳤으며, 원래 불신과 불상 받침과 불상 뒤의 원광인 광배를 모두 갖추고 있었으나,  얼굴이 크게 손상되었었습니다.

석불좌상의 1910년대의 모습

머리가 떨어져 있으며, 훼손되어 있는 것이 보입니다.

1920년대의 모습

 

 

 

 그리고 보수 후의 얼굴 모습입니다.

 

경주 남산에 석불은 많다고 합니다.

그러나 마애불을 빼고는 거의 머리가 없는 상태입니다. 

모두 인위적으로 파괴되어 유실 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오직 세분의 석불만이 머리가 있으시다고 합니다.

한 분은 동남산 미륵곡석조여래좌상이고,

그리고 2005년도에 잃어버렸던 불두를 우연히 발견한 열암골(새갓골)석불입니다

(이 석불의 머리는 아직 복원되지는 않았다고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은 방금 본 삼릉계곡 석불좌상입니다.

 

 경주 남산엔 왜 이리 불교유적이 많을까요?

 왕족과 귀족들이 불국사 천황사 황룡사 등 거창한 절집에서 예불을 올릴 때 민초들은 남산으로 향했습니다.

남산의 불상은 대부분 이름 없는 석공들이 이때 새겼을 것이라고 합니다.

이 때문에 남산엔 완벽하고 잘 생긴 석불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위엄을 갖췄다기보다는 그저 늘상 만나는 이웃 같은 정겨운 모습이 거기에 담겨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