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을 사람이라고 한다면 얼굴이 되는 부분은 어디일까요?
전통 한옥이라면 '창호', 그러니까 '문'이 바로 사람의 얼굴 같은 부분이라 하겠습니다.
흔히 문이라고 말해도 되는 창호는 '窓 + 戶'가 되어 나온 말입니다.
창(窓)은 빛과 바람이 들어오라고 만드는 통로입니다.
호(戶)는 방과 방을 이어주는 통로입니다. 이 두가지 기능을 합한 창호는 사람이 드나들 때는 문이 되고 가만 있을 때는 통풍과 채광을 하는 창이 됩니다.
이 창호를 온갖 다양한 무늬로 만드는 것이 우리 한옥의 특징입니다. 좌우로 밀어서 닫기도 하지만 여름에는 동시에 위로 열어 올려놓기도 하고, 모양과 기능도 다양한 것이 우리 창호입니다.
청원산방의 작업실의 모습을 올려봅니다.
꽃살문- 섬세한 손길과 애정어린 손길로 만들어졌음이 느껴집니다.
작업실 풍경
다양한 연장들이 벽면을 가득 채우고 있습니다.
작업대 위에 놓여진 꽃살문의 일부
소목은 한국 건축의장에서 창호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다. 특히 궁궐건축의 경우는 벽면의 거의 대부분을 창호로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한국의 창호는 건축의 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그 종류와 크기가 다양해 고도의 기술과 기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한국전통창호의 제작을 위해서는 오랜 동안 숙련된 창호장이 필요하다. 창호장은 소목장으로 분류하는데 대목이 건축의 구조부분을 담당한다면 소목은 수장과 장식 부분을 담당한다.
원래는 창호장은 소목장의 한분야였다. 공포를 만드는 장인이 따로 있었고, 난간과 닫집, 장엄장식 등을 만드는 소목분야가 따로 있었다.
다른 소목분야는 그 기능이 거의 단절되거나 사라지고 가구장과 창호장만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지금은 창호장이 다른 장식분야의 제작도 담당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그래서 창호장은 한국의 건축과 문화를 계승, 발전시키는데 대목과 아울러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창호장은 대목이 할 수 없는 섬세함과 세밀함으로 건축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필수적인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세밀한 이음과 맞춤, 정확한 비례의 구성은 오랜 숙련을 통해 창호장만이 가능한 것이며 장비와 목재의 사용에서부터 대목과 다르다.
꽃살문은 말할 것도 없으며 가장 평범한 살대와 문얼굴도 면접기와 모접기를 비롯해 투밀이와 등밀이 등에 정밀한 기법이 필요하다.
-2008 서울무형문화재 특별 기획전의 소목에 대한 소개의 글 중에서-
세밀한 이음과 맞춤~
꽃살문이 어떻게 되어지는지 보여주는 문살
장인의 손때 묻은 연장들과 문살을 이루는 조각들이 세워져 있습니다.
커다란 톱들 아래에서 나무는 알맞은 크기로 잘라지고, 아름다운 문살로 태어나게 되겠지요.
작업장의 모습.
방에서 보았던 꽃살문으로 만든 다탁
이곳 산방에서 창호와 더불어 눈길을 끌었던 접이 세살문의 경첩
문고리에도 저절로 눈길이 가고..
마당에 면해 있는 마루의 난간도 이렇게 섬세한 조각이 되어 있습니다.
산방을 돌아보고 나오는 길..
봄이 되고, 산들바람 부는 계절에 다시 가보고 싶습니다.
열린 창호 너머로 다른 모습을 보여줄 것임을 알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곳이 해를 거듭할 수록 아름다워지리라 믿기 때문입니다.
차 향기에 취하고,
나무 향기에 취해
돌아오는 길..
올해들어 가장 춥다는 날씨도
따스해진 듯 느껴집니다.
'서울,경기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다를 마당에 끌어들인 강화 정수사 (0) | 2009.04.09 |
---|---|
중국 전통 정원을 볼 수 있는 효원공원 월화원 (0) | 2009.02.04 |
나무 향기가 그윽한 곳-청원산방1 (0) | 2009.01.21 |
오래된 집터와 새로고친 한옥- 북촌문화센터 (0) | 2009.01.19 |
늦은만큼 반가운 최초의 한옥 청사-혜화동주민자치센터 (0) | 2009.01.16 |